에너지 사업
- 에너지효율화
- 신재생에너지
- 에너지영업지원
단위 사업장의 xEMS 구축, 광역관리를 위한 통합관제센터 구축,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시스템 구축을 통해 에너지효율화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안정적인 운용을 지원합니다.
- xEMS
개발 및 구축 -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 통합관제센터
구축 운영
보유 솔루션
- 한국에너지공단 설치규격 대응 BEMS
- elio REMS는 KS표준을 준용하며, 한국에너지공단의
설치규격을 따르고 있어 특히 공공부문 및 목표관리
대상 사업장에 적합합니다.
- 이기종 설비 통합연동 솔루션
- xEMS 구축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이기종설비의 통합연동
및 데이터 수집에있어 필수솔루션으로, 10년이상 현장에서
안정성을 검증받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구성
구축실적
-
- 리마크빌 BEMS
- 동대문,영등포,관악, 부산대연,광주쌍암 리마크빌에 BEMS를 구축하여 입주민의 편리와 설비통합관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리마크빌 BEMS동대문,영등포,관악, 부산대연,광주쌍암 리마크빌에 BEMS를 구축하여 입주민의 편리와 설비통합관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 대전시 문화체육시설 BEMS 구축
- 문화체육시설 3개소에 대해 에너지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BP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대전시 문화체육시설 BEMS 구축문화체육시설 3개소에 대해 에너지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BP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
- KT-MEG 센터플랫폼 구축 운영
- KT의 에너지통합관제를 위한 KT-MEG(KT Micro Energy Grid) 센터의 통합관제플랫폼을 구축 하였습니다.
(2015 ~ 2016)
(2015 ~ 2016) KT-MEG 센터플랫폼 구축 운영KT의 에너지통합관제를 위한 KT-MEG(KT Micro Energy Grid) 센터의 통합관제플랫폼을 구축 하였습니다.
-
- 영천시청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 영천시청사 10여종의 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를 구축 하였습니다. (2012 ~ 2016)
(2012 ~ 2016) 영천시청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영천시청사 10여종의 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를 구축 하였습니다.
-
- 세종시 도시에너지관제센터(EOC) 시스템 구축
- 원격에너지 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세종시 첫마을 5개 공공기관의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및 에너지 사용현황을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세종시 도시에너지관제센터(EOC) 시스템 구축원격에너지 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세종시 첫마을 5개 공공기관의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및 에너지 사용현황을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
- 한국에너지공단 BEMS 통합 및 분석센터 구축 운영
- 광역관제 센터, 시범사업, 공공청사등의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데이터를 통합하고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시스템을 통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하고 있습니다. (2014 ~ 2016)
(2014 ~ 2016) 한국에너지공단 BEMS 통합 및 분석센터 구축 운영광역관제 센터, 시범사업, 공공청사등의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데이터를 통합하고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시스템을 통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하고 있습니다.
-
- BC카드 퓨처센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 기존에 구축된 시설물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과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iltion System, BAS)을 통합하였으며, 다양한 관제포인트에 대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C카드 퓨처센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기존에 구축된 시설물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과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iltion System, BAS)을 통합하였으며, 다양한 관제포인트에 대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MEG-EMS 개발 및 구축
- KT 에너지효율화 사업중 하나인 히트펌프 EMS 솔루션을 개발하여 현재 다수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2015 ~ )
(2015 ~ ) MEG-EMS 개발 및 구축KT 에너지효율화 사업중 하나인 히트펌프 EMS 솔루션을 개발하여 현재 다수의 사업장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통합관리를 위해 개발된 REMS (Renewable Energy Management System)는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플랫폼입니다. 신재생에너지 7종의 데이터분석을 통한 지능화된 최적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 REMS 구축
-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 통합관제센터
구축 운영
보유 솔루션
- 클라우드기반의 신재생에너지 통합관리플랫폼
- xEMS 구축시필수적으로 요구되는이기종설비의통합연동 및
데이터수집에있어필수솔루션으로, 10년이상현장에서
안정성을 검증받은플랫폼을기반으로개발되었습니다.
- 로컬 데이터 수집 전송장치 (RTU)
- xEMS 구축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이기종설비의 통합연동
및 데이터 수집에있어 필수솔루션으로, 10년이상 현장에서
안정성을 검증받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구성
주요 기능
-
아이콘
- 이기종 프로토콜 통합
- BACnet, OPC, R-Link, Modbus 지원
-
아이콘
- UI 기반 구성관리
- 비전문가의 정합정보 구성관리
-
아이콘
- 다양한 설비 어댑터
- PLC기반의 다양한 BAS지원
-
아이콘
- X86 PC Base
- Linux Base 설치가능
-
아이콘
- Web 기반 운영관리
- 수집 및 제어 상태정보 및 현황관리
구축실적
-
- 클라우드 기반의 EMS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글로벌 ESS사업지원을 위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EMS 통합관리시스템 구축글로벌 ESS사업지원을 위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 친환경미래에너지 통합모니터링플랫폼 구축
- 친환경 미래에너지 7종에 대한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친환경미래에너지 통합모니터링플랫폼 구축친환경 미래에너지 7종에 대한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 모니터링 구축
- 신재생융복합사업, 건물지원사업, 주택지원사업 등에 3,000여개소 대상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 모니터링 구축신재생융복합사업, 건물지원사업, 주택지원사업 등에 3,000여개소 대상
-
- Renewable EMS 개발 및 구축
- KT의 신재생(Renewable) 에너지 분야의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을 구축 하였습니다. (2015 ~ )
(2015 ~ ) Renewable EMS 개발 및 구축KT의 신재생(Renewable) 에너지 분야의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을 구축 하였습니다.
-
- 한국에너지공단 ESS통합관제플랫폼 구축
- 정부의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보급사업으로 설치된 각 수용가의 ESS를 통합 및 관제 플랫폼을 구축 하였습니다. (2014 ~ 현재 )
(2014 ~ 현재 ) 한국에너지공단 ESS통합관제플랫폼 구축정부의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보급사업으로 설치된 각 수용가의 ESS를 통합 및 관제 플랫폼을 구축 하였습니다.
-
- 한국에너지공단 BEMS 통합 및 분석센터 구축 운영
- 광역관제 센터, 시범사업, 공공청사등의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데이터를 통합하고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시스템을 통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하고 있습니다. (2014 ~ 현재)
(2014 ~ 현재) 한국에너지공단 BEMS 통합 및 분석센터 구축 운영광역관제 센터, 시범사업, 공공청사등의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데이터를 통합하고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시스템을 통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하고 있습니다.
-
- 영천시청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 영천시청사 10여종의 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를 구축 하였습니다. (2012 ~ 2016)
(2012 ~ 2016) 영천시청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영천시청사 10여종의 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를 구축 하였습니다.
-
- 세종시 도시에너지관제센터(EOC) 시스템 구축
- 원격에너지 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세종시 첫마을 5개 공공기관의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및 에너지 사용현황을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세종시 도시에너지관제센터(EOC) 시스템 구축원격에너지 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세종시 첫마을 5개 공공기관의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및 에너지 사용현황을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
- BC카드 퓨처센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 기존에 구축된 시설물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과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iltion System, BAS)을 통합하였으며, 다양한 관제포인트에 대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C카드 퓨처센터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기존에 구축된 시설물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과 빌딩자동화시스템(Building Automailtion System, BAS)을 통합하였으며, 다양한 관제포인트에 대한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삼성SDI ESS 글로벌 웹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에너지저장시스템(Eenergy Storage System, ESS)의 고객용, 엔지니어용, 관리자용 7개국 언어 지원 글로벌 웹/및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2013 ~ 현재)
(2013 ~ 현재) 삼성SDI ESS 글로벌 웹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너지저장시스템(Eenergy Storage System, ESS)의 고객용, 엔지니어용, 관리자용 7개국 언어 지원 글로벌 웹/및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하였습니다.
전기, 가스, 열, 온수, 수도 등의 에너지 공급 시 검침, 요금계산,청구,수납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 영업지원 시스템 입니다.
- 구역전기사업장
영업지원 시스템 구축 - 에너지 통합 빌링
시스템 구축
보유 기술
- SeBil
- 전기와 열 에너지 서비스의 접수부터 시공, 검침, 계산, 청구, 수납 및
미수관리까지의 일련의 영업활동을 지원하는 구역전기사업장에
적합 합니다.
구성
주요 기능
-
아이콘
- 기능성
- 다양한 유형별 상품(계약종별) 및
고객 민원처리 지원
-
- 운용 효율성
- 에너지 영업 업무 조기 정립 및
빌링 작업 스케쥴 관리
-
아이콘
- 사용 용이성
- 메뉴/ 화면 최소화 및 연관 업무
One-Step 처리
-
- CES 사업 표준 정보 구축
- 50종 이상 상품, 요율, 접수 프로세스, 계기 규격,
회계기준 등 표준 정보 구축 및 관리
구축실적
-
- 부산정관 에너지
- 적용분야: 열에너지 (2010 ~ 현재)
(2010 ~ 현재) 부산정관 에너지적용분야: 열에너지
-
- 중부도시가스
- 적용분야: 전기 및 열 에너지 통합 (2013 ~ 현재)
(2013 ~ 현재) 중부도시가스적용분야: 전기 및 열 에너지 통합
-
- 미래앤인천에너지
- 적용분야: 열에너지
(2012 ~ 현재)
(2012 ~ 현재) 미래앤인천에너지적용분야: 열에너지
-
- LH아산에너지사업단
- (2011 ~ 현재)
(2011 ~ 현재) LH아산에너지사업단 -
- 대성에너지 세너지
- (2013 ~ 현재)
(2013 ~ 현재) 대성에너지 세너지 -
- 대성산업 디큐브시티
- (2011 ~ 현재)
(2011 ~ 현재) 대성산업 디큐브시티 -
- 수완에너지
- 2007
2007 수완에너지